정신건강의학과의 F코드는 낙인처럼 느껴지는 측면이 있다. 그리고 희한하게 정신건강의학과 선생님들은 나의 증상을 정확한 병명으로 말해주지 않는 편이다. 그래서 나중에 진단서를 받아보면 정확한 병명을 코드로 알게 되는데 이 F코드의 다양한 숫자들이 뭘 나타내는지 찾아보기 매우 어렵다. 그래서 한 번 정리해보려고 한다.
1. 정신과 F코드 00~09
이 코드 들은 보통 치매나 섬망, 기억 상실에 대한 코드들이다.
F00~F09: 기질성, 증상성 정신장애
- F00: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치매
- F01: 혈관성 치매
- F02: 기타 질환에 의한 치매 (파킨슨병 등)
- F03: 상세불명의 치매
- F04: 외상 후 기억상실증 증후군
- F05: 섬망(기질성 원인에 의한)
- F06: 기타 기질성 정신장애 (조증, 우울증 등)
- F07: 성격 및 행동장애 (두부 외상 등으로 인한)
- F09: 상세불명의 기질성 정신장애
2. 정신과 F코드 10~19
이 코드 들은 물질 중독에 해당되는 장애들로 분류한다.
- F10: 알코올 관련 장애
- F11: 아편제(마약) 사용 장애
- F12: 대마초(마리화나) 사용 장애
- F13: 진정제 및 수면제 사용 장애
- F14: 코카인 사용 장애
- F15: 기타 각성제(암페타민 등) 사용 장애
- F16: 환각제 사용 장애
- F17: 니코틴(담배) 사용 장애
- F18: 흡입제 사용 장애
- F19: 기타 다중 약물 및 상세불명의 물질 사용 장애
3. 정신과 F코드 20~29
이 코드 들은 정신분열병이나 망상장애 등에 해당하는 코드다.
- F20: 정신분열병(조현병)
- F21: 분열형 장애(조현형 성격장애 포함)
- F22: 지속성 망상장애
- F23: 급성 및 일시적 정신병적 장애
- F24: 유도성 망상 장애
- F25: 분열정동장애
- F28: 기타 비정형 정신병적 장애
- F29: 상세불명의 정신병
4. 정신과 F코드 30~39
이 코드들은 정동장애라 불리는 기분 장애에 해당하는 코드들이다.
- F30: 조증 에피소드
- F31: 양극성 정동장애(조울증)
- F32: 주요 우울장애(단일 에피소드)
- F33: 재발성 우울장애
- F34: 지속성 기분장애(기분부전증, 순환기분증 등)
- F38: 기타 기분장애
- F39: 상세불명의 기분장애
5. 정신과 F코드 40~48
이 코드들은 불안장애나 강박, 스트레스와 관련된 장애들을 나타낸다.
- F40: 공포증적 불안장애 (사회공포증 등)
- F41: 기타 불안장애 (범불안장애, 공황장애 등)
- F42: 강박장애
- F43: 스트레스 관련 장애 (PTSD, 적응장애 등)
- F44: 해리성 장애 (기억 상실, 다중 인격 등)
- F45: 신체형 장애 (건강염려증 포함)
- F48: 기타 신경증성 장애
6. 정신과 F코드 50~59
이 장애들은 생리적인 장애(수면, 섭식, 성기능 등)와 연결된 코드들이다.
- F50: 섭식장애 (신경성 식욕부진증, 폭식증 등)
- F51: 비기질성 수면장애 (불면증, 몽유병 등)
- F52: 성기능 장애(정신적 원인)
- F53: 산후 정신장애
- F54: 신체질환 관련 심리적 요인
- F55: 의존성이 없는 물질 남용
- F59: 상세불명의 생리적 장애
7. 정신과 F코드 60~69
이 코드들은 성격장애나 성 정체성에 대한 문제를 나타낸다.
- F60: 특정 성격장애 (반사회성, 경계성 등)
- F61: 혼합형 및 기타 성격장애
- F62: 지속성 성격 변화 (외상 후 등)
- F63: 습관 및 충동 장애 (도박중독, 병적 도벽 등)
- F64: 성 정체성 장애 (트랜스젠더 등)
- F65: 성적 선호 장애 (가학증, 노출증 등)
- F66: 심리적 발달 장애(성적 발달 관련)
- F68: 기타 성격 및 행동 장애
- F69: 상세불명의 성격장애
8. 정신과 F코드 70~79
이 부분은 정신지체 장애에 해당된다.
- F70: 경도 정신지체 (IQ 50~69)
- F71: 중등도 정신지체 (IQ 35~49)
- F72: 고도 정신지체 (IQ 20~34)
- F73: 최중증 정신지체 (IQ 20 이하)
- F78: 기타 정신지체
- F79: 상세불명의 정신지체
9. 정신과 F코드 80~89
이 부분은 심리적인 발달장애를 나타낸다. 학습장애나 자페등이 해당된다.
- F80: 언어 및 발음 발달장애
- F81: 학습장애 (난독증 등)
- F82: 운동발달장애
- F83: 혼합 발달장애
- F84: 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스펙트럼 포함)
- F88~F89: 기타 및 상세불명 발달장애
10. 정신과 F코드 90~98
주로 소아기나 청소년기의 질환등이 표시된다. ADHD나 품행장애 등이 해당된다.
- F90: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ADHD)
- F91: 품행장애
- F92: 혼합형 정서 및 품행장애
- F93: 아동기 정서장애 (분리불안 등)
- F94: 사회적 기능장애 (애착장애 등)
- F95: 틱 장애 (뚜렛 증후군 포함)
- F98: 기타 행동 및 정서 장애 (야뇨증, 말더듬 등)
11. 정신과 F코드 99
F99의 경우는 정신 및 행동장애로 진단되었지만 명확한 범주를 정할 수 없을 때 지정한다고 한다.
보통 F코드를 받으면 실비보험 등의 보험에 가입하는데 제한을 받거나 취업등에서 제한된다고 하지만 사실 기록 자체를 타인이 요구하거나 검색하는 것은 불법이다. 다만 실비보험에 가입되어 있을 경우 F코드에 대한 진단금 및 실비지급은 불가능하다고 기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태아보험이나 어린이보험의 경우 ADHD나 발달장애 등에 대한 진단금을 받을 수 있는 경우들이 있으나 해당코드를 잘 보고 가입해야한다.
보통 제대로 된 진단을 받기 전에 상담을 받기 위해 Z코드 등을 이용해서 진단을 받는 경우가 있는데 정신질환으로 인한 약물치료가 결정되고 처방을 받기 위해서는 F코드를 꼭 받아야한다. 기록이 남긴 하지만 타인이 열람이나 찾아볼 수 없다는 점을 명심하고 필요한 치료가 있다면 꼭 받도록 하자.
'생활정보가 궁금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병원 입원치료비 무료로 지원받는 방법(LH임대주택 입주민) (0) | 2025.01.25 |
---|---|
스마트카라 pcs-400 작동이 제대로 안될 때 대처법(쓰룽지, 떡처럼 될 때) (0) | 2025.01.18 |
내가 곱슬머리 2A인 내가 CGM, WGM 를 포기한 이유(그냥 다이슨 에어랩을 삽시다) (0) | 2025.01.11 |
겨울방학 아이랑 박물관, 어디가 좋을까? (국립 민속박물관, 용산전쟁기념관, 국립중앙박물관, 돈의동 박물관마을, 서울역사박물관) (6) | 2024.12.21 |
알리에서 플러스사이즈 겨울옷 아우터 실패없이 쇼핑하기 (4) | 2024.1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