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 vs 제습기, 같은 공간에서 10% 습도 낮추기 누가 에너지효율 높을까?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가 궁금해

에어컨 vs 제습기, 같은 공간에서 10% 습도 낮추기 누가 에너지효율 높을까?

by 라미차니 2025. 7. 19.
반응형

궁금하면 오시본

무더위가 비 덕분에 살짝 물러난 기분이다. 하지만 다음주부터는 다시 폭염이 시작된다고 한다. 우리집 에어컨은 인버터 형식의 천장형 에어컨이라 한 번 틀면 온도 조절을 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는게 더 전력소모가 적다고 해서 그렇게 유지중이다. 하지만 고민되는 것이 있는데 외부 습도가 높은 날이면 27~26도로 맞춰둔 집안 온도는 그대로이지만 쾌적함이 매우 떨어진다는 점이다.

 

그래서 작년까진 제습모드를 이용해서 습기를 낮췄었는데 그러면 집안 온도는 너무 추워지면서 제습모드를 종료하면 다시 온 집안에 빠르게 습기가 차올라서 고민이었다. 그러다 올해 제습기를 하나 새로 구입했는데 에어컨의 성능을 극대화하면서 습기는 완벽히 잡아낼 수 있어서 너무 만족스럽다.

 

하지만 걱정이 되는 것이 이미 에어컨으로 전기세를 많이 태우는 입장에서 제습기까지 사용하게 되니 다음달 관리비가 너무 무섭다. 이미 제습기의 성능에 반해버려서 제습기 사용을 포기할 순 없고 하니 그렇다면 합당한 이유가 있다는 걸 스스로에게 납득시키고 싶어진다.

 

그래서 에어컨과 제습기 둘 중 집안 습도를 10% 낮출때 어떤 제품이 더 에너지효율이 높은지 알아보기로 했다.

 

1. 에어컨제습모드 vs 제습기 차이점

에어컨 제습모드와 제습기는 작용방식에서 차이가 있다고 한다. 이 점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더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할 것 같아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에어컨의 제습모드는 사실 에어컨의 냉방모드와 원리가 동일하다고 한다. 그래서 전력소모 역시 동일하게 본다.

온도를 낮출수록 제습효과가 커지므로 원하는 습도로 설정했을 경우 집안 온도가 급격히 차가워질 수 있다.

요새 나온 천정형에어컨들은 방마다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고 개별로 습도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방마다 조절이 가능하긴 하지만 하나의 실외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개별로 습도조절을 하더라도 실외기 작동은 동일하게 이뤄진다.

보통 인버터 방식의 에어컨일 경우 설정온도를 맞춰 놓고 그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전력소모를 줄이는 방법인데 제습모드를 방마다 다르게 설정한다고 해도 하나의 실외기를 공유하는 천정형에어컨의 경우 실외기 작동으로 인한 전력소모가 필연적으로 이뤄진다.

 

제습기의 경우 습도를 기준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특정공간의 습도만 낮추기에 적합하다. 문을 닫는 등 필요한 공간만 집중적으로 습도를 낮출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게다가 평균 소비전력이 에어컨의 30%~20%에 불과하다. 집안 전체의 습도를 동시에 낮추기 위해서는 1일 제습용량이 큰 제품을 사용하거나 작은용량의 제습기를 여러대 구매해서 방마다 습도 조절을 하는 것이 적합하다.

다만 에어컨과 달리 제습된 습기를 물로 배출하는 방식이므로 물통을 비워줘야하는 귀찮음이 존재한다. 자동배수기능이 있는 제품이긴 하지만 이럴경우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2. 상황 설정

우리집은 인버터천정형 에어컨이 설치된 25평 아파트이다. 방3개, 거실 1개 총 4대의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다.

인터버 에어컨의 평균 소비전력은 1대당  평균 600~1000W 라고 하고 우리집은 총 4대를 사용하고 있으니 2400~4000W/h, 1시간을 기준으로 하면 약 2.4~ 4kWh를 소비한다고 예상할 수 있다.

 

제습기의 경우 이번에 1등급, 20리터용량으로 구매했는데 대략 소비전력이  250~300W/h 정도라고 한다. 1시간당 소비전력은 0.25~03 kWh로 예상된다.

 

1달간 사용해 보았을 때 제습기는 24시간 가동하기 보다는 에어컨을 사용하다가 습도가 외부요인(비), 내부요인(샤워, 공간 내 사람 수 증가) 등으로 인해 70%이상 올랐을 때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우리집의 경우는 오전에 2시간 정도, 오후에도 2시간 정도, 수면 시간에 예약으로 3시간 정도로 총 7시간 정도 사용하게 되는 것 같다.

 

3. 실제 비교

제품 천정형 인버터 에어컨 4대 동시 가동  1등급 제습기 1대 가동
방법 냉방 및 제습 모드 사용 전용 제습 기능 사용
예상 소비전력 제습모드 집안 동시 가동시
시간당 2.4~ 4kWh
제습기 1대로 가동시
0.25~03 kWh
습도제어 기준 온도 기준 습도 기준 
방식 설정습도 도달시 전력 감소
인버터 방식이라 방별로 제어해도
실외기 공유로 인해 전력소모 동일
원하는 공간마다 설정습도 도달시 전력감소
개별 방마다 이동이 가능함
장점 리모트 컨트롤로 조절 가능 전력소모량이 적음
단점 전력소모량이 큰 편 물통을 상시 비워야함
(자동배수기능사용가능하지만
이럴경우 이동성 저하됨)
사용추천상황 냉방과 제습을 동시에 관리하여
온집안을 빠르게 시원하게 만들때
습도때문에 쾌적함이 떨어질 때
공간마다(안방화장실 사용 후 등등)
습도를 관리하고 싶을 때

 

4. 결론 & 사용팁

10%의 습도를 제거한다는 상황에서 결과적으론 제습기를 사용해서 원하는 습도를 맞추는 것이 훨씬 효율이 높다. 습도관리만이 목적일 경우 에어컨보다 제습기의 에너지소모량이 현저히 적기 때문이다.

 

냉방과 제습을 동시에 하거나 넓은 공간을 빠르게 쾌적하게 만드는 것이 목적이라면 에어컨이 답이지만 이미 에어컨을 24시간 가동하거나 에어컨 사용시 갑자기 높아진 습도로 인해 집안 공기가 쾌적하지 않을 때는 제습기가 더 효율적이라고 보여진다.

 

우리집 같은 25평 아파트라면 용량 20l의 제습기 하나로 충분히 온 집안 제습이 가능하니 작은 집이라면 대용량 제습기 1대로 커버하고 30평 이상, 그리고 구조상 방별 공기순환이 어렵다면 제습기를 2대 이상 구매하거나 에어서큘레이터를 함께 이용하는 것이 더 효율이 좋다.  그리고 샤워 후라든가 요리를 한 후, 에어컨을 24시간 가동시 환기를 위해 창문을 열었다던가 하는 상황 후 제습기를 함께 사용하면 빠르게 습기가 제거되면서 쾌적해지니 참고하자.


도대체 에어컨이 있는 왜 제습기를 사냐? 고 했던 지난날의 나를 반성한다. 확실히 제습기 한 대를 새로 사니 에어컨만 있을 때보다 쾌적함이 더 깊게 느껴진다. 물통 가득 모아진 우리집 습기를 쏴아아~하고 부어버릴 때의 쾌감 역시 제습기가 새로 제공하는 도파민이다. 아직 제습기가 없다면 1등급으로 구매하고 정부에서 시행하는 으뜸효율환급사업을 통해 10%의 제품구입비도 보전받자.

 

아래의 링크는 내가 구입한 제습이다. 에너지 효율도 1등급이고 타 제품들보다 가격이 좀 착하다. 게다가 원래 제습기의 컴프레셔는 에어컨과 동일한 기술력으로 만든다고 하니 저렴하면서 제품효율도 높은 캐리어제습기를 추천한다!

 

[10%환급가전] 캐리어 25년 신제품 1등급 제습기 CDHB-200AXLWLXH - 가정용 | 쿠팡

쿠팡에서 [10%환급가전] 캐리어 25년 신제품 1등급 제습기 CDHB-200AXLWLXH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가정용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여름철 야외작업 시 열사병 예방법(얼음물, 열패치, 등풍기, 택배기사)

진짜 매일매일이 너무 덥다를 갱신하는 날이다. 이런 날 남편은 택배를 나는 오전에 터미널에서 분류작업을 하다보니 둘 다 기진맥진이다. 저번주엔 택배기사가 3명이나 쓰러져서 돌아가셨다는

rv10000.kelly1817.com

 

 

여름철 시원하고 땀흘려도 냄새 나지 않는 옷 고르는 방법(면, 린넨, 레이온, 쿨맥스, 뱀부, 쿠팡,

남편은 택배기사이다. 나는 오전에 남편의 터미널에서 분류 알바를 하고 있다. 겨울에는 추워서 고생했는데 여름에는 선풍기를 아무리 틀어도 땀이 식지 않을 정도로 덥고 습하다. 장마처럼 아

rv10000.kelly1817.com

 

 

 

 

타이레놀 vs 탁센 vs 이지엔6 증상에 따라 골라 복용하기(가격/성분)

타이레놀과 탁센, 이지엔6는 모두 약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해열진통제이다. 우리집 역시 늘 상비약처럼 구비해놓는데 알고보면 각각의 성분이 다르다. 타이레놀은 아세트아미노펜, 탁센은

rv10000.kelly1817.com

 

반응형

댓글